언어/프로세싱

[프로세싱] setup() 함수와 draw() 함수

Linuxpia 2024. 10. 13. 15:03
반응형

setup() 함수와 draw() 함수

setup() 함수와 draw() 함수는 프로세싱(Processing)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기본 함수입니다. 각각의 함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며, 그래픽을 그리거나 인터랙티브 한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때 사용됩니다.

1. setup() 함수

  • 역할: setup() 함수는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 한 번만 실행됩니다. 주로 창의 크기를 설정하거나,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배경 색상이나 폰트를 설정할 때도 활용됩니다.
  • 구문:
  • void setup() { // 초기 설정 코드 }
  • 주요 용도:
    • 화면 크기 설정: size(width, height) 함수를 통해 화면의 너비와 높이를 지정합니다.
    • 배경색 설정: background(color) 함수를 사용해 화면의 배경색을 지정합니다.
    • 변수 초기화: 변수의 초기값을 지정하거나, 애니메이션의 초기 상태를 설정합니다.
  • 예시:
  • void setup() { size(500, 500); // 500x500 크기의 창을 설정 background(255); // 흰색 배경 }

2. draw() 함수

  • 역할: draw() 함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호출됩니다. 이 함수는 애니메이션을 만들거나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그래픽을 그릴 때 사용됩니다. 매 프레임마다 화면을 갱신하고, 화면 위의 요소를 그릴 수 있습니다.
  • 구문:
  • void draw() { // 반복 실행할 코드 }
  • 주요 용도:
    • 애니메이션 구현: draw() 함수는 초당 여러 번 호출되기 때문에, 이 안에서 요소를 움직이거나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 실시간 상호작용: 키보드나 마우스 입력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화면 갱신: 매 프레임마다 화면을 갱신하여 움직이는 객체를 그립니다.
  • 예시:

예시 프로그램

 

위의 예시에서 draw() 함수는 반복적으로 호출되며, 매번 원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합니다.

setup()draw()의 관계

  • setup() 함수는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한 번만 실행되며, 그 이후에 draw() 함수가 계속해서 반복 실행됩니다.
  • draw() 함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애니메이션 없이 정적인 화면을 유지하게 됩니다.
  • draw() 함수가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덕분에 동적인 그래픽이나 인터랙티브한 요소를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정리

  • setup() 함수: 프로그램의 초기 설정을 담당하며, 한 번만 실행됩니다.
  • draw() 함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호출되며, 애니메이션과 그래픽을 그리는 데 사용됩니다.

이 두 함수를 적절히 사용하면 프로세싱을 이용한 다양한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