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프로세싱

[프로세싱 기초] 첫 번째 스케치

Linuxpia 2024. 10. 10. 18:03
반응형

첫 번째 스케치

Processing에서 작성된 코드와 그 결과를 자세히 분석합니다.

첫 번째 스케치의 코드와 결과

코드 분석

size(200, 200); 
background(255);
  • size(200, 200);: 창의 크기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200 x 200 픽셀 크기의 창이 생성됩니다.
  • background(255);: 배경 색상을 설정합니다. 255는 흰색을 의미합니다(RGB 값으로 255, 255, 255이므로 흰색).
ellipseMode(CENTER); 
rectMode(CENTER);
  • ellipseMode(CENTER);rectMode(CENTER);: 원(ellipse)과 사각형(rect)을 그릴 때 중심을 기준으로 그리겠다는 설정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좌상단을 기준으로 도형이 그려지지만, 이 설정으로 인해 중심을 기준으로 도형이 그려집니다.
stroke(0); 
fill(150);
rect(100, 100, 20, 100);
  • stroke(0);: 도형의 외곽선 색을 검정(0)으로 설정합니다.
  • fill(150);: 도형의 내부 색을 회색(150)으로 설정합니다.
  • rect(100, 100, 20, 100);: 중심이 (100, 100)에 위치하고, 너비가 20, 높이가 100인 직사각형을 그립니다. 이 직사각형은 캐릭터의 몸통으로 사용되었습니다.
fill(255); 
ellipse(100, 70, 60, 60);
  • fill(255);: 내부 색을 흰색(255)으로 설정합니다.
  • ellipse(100, 70, 60, 60);: 중심이 (100, 70)에 위치하고, 너비와 높이가 각각 60인 원을 그립니다. 이 원은 캐릭터의 얼굴로 사용되었습니다.
fill(0); 
ellipse(81, 70, 16, 32); 
ellipse(119, 70, 16, 32);
  • fill(0);: 내부 색을 검정(0)으로 설정합니다.
  • ellipse(81, 70, 16, 32);: 중심이 (81, 70)에 위치하고, 너비가 16, 높이가 32인 타원을 그립니다. 왼쪽 눈입니다.
  • ellipse(119, 70, 16, 32);: 중심이 (119, 70)에 위치하고, 너비가 16, 높이가 32인 타원을 그립니다. 오른쪽 눈입니다.
stroke(0); 
line(90, 150, 80, 160); 
line(110, 150, 120, 160);
  • stroke(0);: 선의 색을 검정(0)으로 설정합니다.
  • line(90, 150, 80, 160);: 시작점이 (90, 150)이고 끝점이 (80, 160)인 선을 그립니다. 캐릭터의 왼쪽 다리로 보입니다.
  • line(110, 150, 120, 160);: 시작점이 (110, 150)이고 끝점이 (120, 160)인 선을 그립니다. 캐릭터의 오른쪽 다리로 보입니다.

실행 결과 창 분석

  • 창에는 단순한 캐릭터가 그려져 있습니다. 얼굴은 둥근 원이며, 검은 타원 두 개로 눈이 표현되었습니다.
  • 몸통은 회색 직사각형으로 표현되었고, 두 개의 짧은 선이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행 결과

 

이 캐릭터는 매우 단순한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눈과 몸의 비율이 독특해서 재미있는 모습이 연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