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세싱 화면 설명
프로세싱 프로그램 화면은 간단합니다. 위 메뉴가 있고 아래 코딩을 하는 영역과 메시지 영역이 있습니다. 각 부분의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케치 이름 (Mouse2D)
- 화면 상단 왼쪽에 있는 "Mouse2D"는 현재 작업 중인 스케치(프로젝트)의 이름입니다.
- 프로세싱에서는 작업 파일을 스케치라고 부르며, 기본적으로 파일명을 기준으로 스케치 이름이 정해집니다. 이 이름은 사용자가 저장할 때 바꿀 수 있습니다.
2. 스케치 실행 및 멈춤 버튼
- 왼쪽 상단의 파란색 삼각형(▶️) 아이콘은 스케치를 실행하는 버튼입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코드를 컴파일하고 실행하여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 옆에 있는 사각형 버튼(⏹️)은 스케치를 멈추는 버튼입니다. 실행 중인 스케치가 있을 때 이 버튼을 눌러 중지시킬 수 있습니다.
3. 디버거 작동 버튼
- 오른쪽 상단에 있는 아이콘은 디버거 작동을 위한 버튼입니다. 프로세싱에서는 디버깅을 통해 코드를 단계별로 실행하고, 변수 값을 확인하며 오류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이 버튼을 클릭하면 디버거 모드가 활성화되며, 코드를 분석하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4. 코딩 영역
- 화면 중앙에 있는 부분은 실제로 코드를 작성하는 코딩 영역입니다. 여기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코드는
setup()과draw()함수로 나뉘어져 있습니다.setup()은 프로그램이 처음 실행될 때 한 번만 호출되며,draw()는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호출됩니다.
5. 콘솔 및 오류 창 (하단)
- 화면 하단에는 Console과 Errors 탭이 있습니다.
- Console 탭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출력되는 메시지나 사용자 정의 출력이 나타나는 곳입니다. 예를 들어
println()함수를 사용하면 이곳에 결과가 출력됩니다. - Errors 탭은 코드 실행 중 발생한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는 곳입니다. 오류가 발생하면 이 탭에서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언어 선택 (Java)
-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드롭다운 메뉴에서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프로세싱은 Java를 사용하지만,
p5.js,Python,Ruby등의 다른 언어로도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 - 현재는 Java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모드에서 Java 문법을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합니다.
'언어 > 프로세싱'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프로세싱] 프로세싱에서 RGB와 HSB (3) | 2024.09.30 |
|---|---|
| [프로세싱] 예제 중 하나, ContinuousLines (2) | 2024.09.29 |
| [프로세싱] 예제 응용 (2) | 2024.09.27 |
| [프로세싱] 프로세싱 개요 (3) | 2024.09.26 |
| [프로세싱] 리눅스 마스코트를 프로세싱으로 그리면 (7)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