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브리지(Bridged) 모드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모드
VMware의 네트워크 설정 화면에서 보셨듯이, 가상 머신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브리지(Bridged) 모드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모드입니다. 두 방식의 차이를 비교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브리지 모드 (Bridged Mode)
✔ 개념
- 가상 머신을 실제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합니다.
- 마치 하나의 독립된 컴퓨터처럼 동작합니다.
✔ 특징
- 가상 머신이 호스트와 동일한 물리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연결됨
- 가상 머신에 별도의 IP 주소가 할당됨 (보통 DHCP를 통해 자동 할당)
- 공유기나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장치처럼 인식
✔ 장점
- 가상 머신을 외부에서 접속해야 할 때 유리
- 서버용 소프트웨어 (예: 웹서버, DB서버) 테스트에 적합
- IP 충돌만 없다면 물리 PC와 동일한 대우
✔ 단점
- 회사나 공공기관에서는 보안 정책상 브리지 모드를 막아놓기도 함
- DHCP 서버가 없는 네트워크에서는 수동 IP 설정 필요
✅ NAT 모드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개념
- 가상 머신이 호스트를 통해 인터넷에 간접적으로 연결됨
- 마치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
✔ 특징
- 가상 머신에 내부 전용 IP 주소가 할당됨 (예: 192.168.x.x)
- 호스트 머신이 게이트웨이 역할을 함
- 외부와의 통신은 호스트를 통해 이루어짐
✔ 장점
- 외부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설정이 간편하고 기본값으로 적합
- 보안성이 더 높음 (외부에서 가상 머신에 접근 어려움)
✔ 단점
- 외부에서 가상 머신에 접속하기 어려움 (포트 포워딩 필요)
- 고정 IP가 필요한 환경에는 부적합
🔍 비교 요약
항목 브리지 모드 NAT 모드
IP 주소 | 물리 네트워크와 동일 대역 (독립 IP) | 내부 네트워크용 IP (호스트를 공유) |
외부 접근 가능성 | 높음 | 낮음 |
사용 용도 | 서버 테스트, 원격 접속 | 인터넷 사용, 일반 개발용 |
설정 난이도 | DHCP 필요, 경우에 따라 수동 설정 | 설정 간편 |
보안 | 낮음 (직접 노출됨) | 높음 (호스트를 통해 우회) |
✅ 추천 사용 상황
- 서버 테스트, 외부 접속이 필요한 경우: 브리지 모드
- 일반 개발, 인터넷 사용만 필요한 경우: NAT 모드
'리눅스 > 리눅스 설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Ubunt 설치 (1) | 2025.05.10 |
---|---|
[VMware] LinuxMint 설치 (2) | 2025.05.05 |
리눅스 환경에서 Linux Mint 부팅 USB 만드는 방법 (0) | 2025.04.14 |
Ubuntu 기반 고정 IP 설정(networkd) (0) | 2025.04.05 |
[리눅스민트] 리눅스민트의 세 종류의 데스크톱 버전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