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분투 리눅스 설치
우분투 리눅스를 설치할 때는 처음부터 한글 환경에서 설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리눅스민트와 달리 한글 설정이 영문 상태에서는 까다롭습니다. 리눅스민트는 영문 상태에서 'ibus'와 'ibus-hangul'을 설치하고 셋업을 하면 쉽게 성공합니다. 하지만 우분투는 한글 상태에서 설치하면 한글 설정은 아주 쉽습니다.
우분투에서 한글 설정
우분투가 실행된 상태에서 우상단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고 들어갑니다. 키보드 설정에서 바로 아래와 같은 대화창을 만납니다. 이곳에서 '한국어(Hangul)'을 선택하면 끝입니다. 위에 있는 'Korean...'은 제거해도 좋습니다. 오히려 제거해야 사용이 편리합니다. 한글 자판에는 '영/한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터미널에서 테스트
터미널을 열고 '한글'을 입력하여 테스트합니다. '한/영' 변환의 기본 키는 'Shift + Space'입니다. 한자 입력은 'F9' 기능키입니다.
정리
최근의 리눅스 패키지는 일반 사용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인터페이스가 많이 개선됐습니다. 특히 VMware사용이 개방되면서 윈도우즈 시스템에 가상시스템을 설치하여 네트워크 테스트 등을 쉽게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리눅스 > 리눅스 설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브리지(Bridged) 모드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모드 (0) | 2025.05.11 |
---|---|
[VMware] LinuxMint 설치 (2) | 2025.05.05 |
리눅스 환경에서 Linux Mint 부팅 USB 만드는 방법 (0) | 2025.04.14 |
Ubuntu 기반 고정 IP 설정(networkd) (0) | 2025.04.05 |
[리눅스민트] 리눅스민트의 세 종류의 데스크톱 버전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