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명령어 ls
ls
명령어는 Linux 파일 시스템에서 디렉터리(Directory)의 내용을 나열하기 위한 기본 명령어입니다. 사용자가 디렉터리 내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확인하고, 다양한 옵션을 통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ls [옵션] [디렉터리]
- 옵션: 출력 결과를 조정합니다.
- 디렉터리: 내용을 확인하려는 디렉터리를 지정합니다. 디렉터리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터리를 기본으로 사용합니다.
주요 출력 정보
- 파일/디렉터리 이름
- 옵션에 따라 파일 크기, 소유권, 권한, 수정 시간 등을 포함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사용 예제 |
---|---|---|
-l |
파일의 상세 정보(권한, 소유자, 크기 등)를 표시 | ls -l |
-a |
숨김 파일(.으로 시작하는 파일)도 표시 | ls -a |
-h |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로 표시 | ls -lh |
-r |
결과를 역순으로 정렬 | ls -r |
-t |
파일 수정 시간 기준으로 정렬 | ls -lt |
-R |
하위 디렉터리까지 재귀적으로 표시 | ls -R |
-d |
디렉터리 자체만 표시 (내용은 표시하지 않음) | ls -d */ |
-S |
파일 크기 기준으로 정렬 | ls -lS |
상세 설명 및 사용 예제
1. 기본 디렉터리 나열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과 디렉터리를 나열합니다.
ls
2. 상세 정보 보기
-l
옵션은 파일의 상세 정보를 표시합니다. 각 필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ls -l
출력 예:
-rw-r--r-- 1 user group 1234 Dec 6 14:00 example.txt
-rw-r--r--
: 파일 권한 (읽기, 쓰기, 실행)1
: 링크 수 (하드 링크의 개수)user
: 파일 소유자group
: 파일 소유 그룹1234
: 파일 크기(바이트 단위)Dec 6 14:00
: 마지막 수정 날짜 및 시간example.txt
: 파일 이름
3. 숨김 파일 포함
숨김 파일도 표시하려면 -a
옵션을 사용합니다.
ls -a
출력 예:
. .. .bashrc .profile file.txt
.
: 현재 디렉터리..
: 상위 디렉터리.bashrc
,.profile
: 숨김 파일
4. 파일 크기를 읽기 쉬운 형식으로 표시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단위(예: KB, MB)로 표시하려면 -h
옵션을 사용합니다.
ls -lh
출력 예:
-rw-r--r-- 1 user group 1.2K Dec 6 14:00 example.txt
5. 파일 수정 시간 순으로 정렬
-t
옵션은 파일을 최근 수정된 순서대로 정렬합니다.
ls -lt
6. 디렉터리만 표시
디렉터리 자체만 표시하려면 -d
옵션을 사용합니다.
ls -d */
7. 재귀적으로 하위 디렉터리까지 표시
-R
옵션을 사용하면 하위 디렉터리의 내용도 모두 나열합니다.
ls -R
출력 예:
./
file1.txt dir1/
./dir1:
file2.txt
결합된 옵션 사용
옵션을 조합하여 다양한 정보를 한 번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1. 숨김 파일 포함 및 상세 정보
ls -la
2. 최근 수정된 순서로 정렬된 상세 정보
ls -lt
3. 읽기 쉬운 크기, 숨김 파일 포함, 상세 정보
ls -lah
에일리어스(alias) 설정
자주 사용하는 옵션을 간편하게 사용하려면 alias
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예:
alias ll='ls -alh'
적용 후:
ll
위 명령어로 ls -alh
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리
ls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터리 탐색의 핵심 도구로, 다양한 옵션을 통해 출력 결과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은 단순하지만, 옵션 조합을 통해 숨김 파일 표시, 크기 정렬, 수정 시간 기준 정렬 등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파일 관리와 디렉터리 탐색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면 주요 옵션과 사용법에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리눅스 > 리눅스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문자열이나 패턴 검색, grep (221) | 2024.12.09 |
---|---|
[리눅스 명령어] 디렉터리 이동 명령어, cd (112) | 2024.12.08 |
[리눅스 명령어] shutdown 명령어 (77) | 2024.12.06 |
wget의 개념과 사용법 (3) | 2024.11.20 |
리눅스를 처음 배울 때 먼저 익힐 세 가지 (4)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