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리눅스 기초

리눅스에서 tee 명령어

Linuxpia 2024. 11. 13. 16:22
반응형

리눅스에서 tee 명령어

리눅스에서 tee 명령어는 표준 입력을 받아서 파일에 저장하고 동시에 표준 출력(터미널)에 출력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tee는 데이터를 두 방향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페라 설치 중에

명령어 'tee' 기본 형식

command | tee [파일 경로]

사용 예시

1. 기본 사용

echo "Hello, World!" | tee output.txt

위 명령어는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을 output.txt 파일에 저장하고, 동시에 터미널에 출력합니다. 터미널에 "Hello, World!"가 출력되고, 파일에도 같은 내용이 기록됩니다.

2. 기존 파일에 내용 추가 (-a 옵션)

기본적으로 tee는 지정한 파일의 내용을 덮어씁니다. 파일에 내용을 추가하려면 -a (append) 옵션을 사용합니다.

echo "Additional Text" | tee -a output.txt

이 경우 기존의 output.txt 파일 내용에 "Additional Text"가 추가됩니다.

3. 관리자 권한으로 파일에 기록

특정 시스템 파일에 기록할 때 sudo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tc/apt/trusted.gpg.d와 같은 시스템 디렉터리에 인증 키를 추가할 때 유용합니다.

echo "some text" | sudo tee /etc/apt/trusted.gpg.d/file.asc

4. 여러 파일에 동시에 출력

tee는 한 번에 여러 파일에 기록할 수 있습니다.

echo "Multiple outputs" | tee file1.txt file2.txt

위 명령어는 file1.txtfile2.txt에 동시에 "Multiple outputs"를 저장하고, 터미널에도 출력합니다.

tee의 유용한 사용 사례

  • 로그 파일 저장: 명령어의 출력 결과를 터미널에 표시하면서 동시에 로그 파일로 저장할 때 유용합니다.
  • 시스템 파일 수정: 일반 사용자가 시스템 파일을 수정하려 할 때 sudo와 함께 tee를 사용하면 파일을 직접 열지 않고도 명령어 결과를 파일에 쓸 수 있습니다.
  • 스크립트 실행 결과 확인 및 저장: 긴 명령어 실행 결과를 확인하면서 로그 파일로 기록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tee는 명령어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기록할 때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