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ySQL과 MariaDB
MySQL과 MariaDB는 둘 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며, 기본적인 사용법은 매우 유사하지만 개발 배경, 기능, 라이선스, 성능 최적화 방향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는 핵심적인 차이점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 MySQL vs MariaDB 비교
항목 | MySQL | MariaDB |
개발 주체 | 오라클(Oracle Corporation) | 마이클 위드니어스(MySQL 창시자)와 커뮤니티 |
출시 배경 | MySQL은 오라클에 인수됨(2010년) | 오라클의 상용화 우려로 MySQL 포크(fork)로 독립 개발됨 |
라이선스 | 일부 기능은 상용 (GPL + 오라클 라이선스 혼합) | 100% 오픈소스 (GPL v2) |
버전 호환 | 버전별 기능 차이 있음 | MySQL 5.5까지는 완전 호환5.6 이후부터는 점차 차이 발생 |
기능 추가 | 비교적 보수적, 안정성 중심 | JSON 함수, 가상 컬럼, 더 많은 저장 엔진 등 기능 풍부 |
퍼포먼스 | 안정적이고 기업 환경에 적합 | 동시 처리 성능 개선, 복제 기능 강화 등 속도 향상에 중점 |
스토리지 엔진 | InnoDB 중심 | Aria, XtraDB, ColumnStore 등 다양한 엔진 지원 |
보안 업데이트 | 오라클의 정책에 따라 제한적 제공 | 빠르고 투명하게 업데이트 제공 |
디버깅과 투명성 | 코드 변경 이력 공개 적음 | 개발 로드맵 및 소스 코드 변경 내역 공개적 공유 |
✅ 실제 사용 예에서 느껴지는 차이
항목 | MySQL | MariaDB |
DATETIME DEFAULT CURRENT_TIMESTAMP 사용 | 대부분 가능 | 버전에 따라 불가능 — 대신 TIMESTAMP 사용 |
JSON 관련 기능 | MySQL 5.7부터 공식 지원 | MariaDB 10.2부터 유사 기능 제공 (JSON 함수 호환은 제한적) |
레플리케이션(복제) | 기본 기능 제공 | Galera Cluster 내장 등 고급 복제 기능 내장 |
✅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 기업/상용 서비스 → 안정성과 오라클 지원이 중요한 경우: MySQL 추천
- 개발자/오픈소스 지향 환경 → 빠른 개선, 고급 기능이 중요한 경우: MariaDB 추천
- 기존 MySQL 호환 유지 필요 → MySQL 유지
- 비용 걱정 없는 오픈소스 DB 필요 → MariaDB 유리
✅ 마무리 요약
MariaDB는 MySQL을 대체하는 오픈소스 DB로 출발했지만, 현재는 기능, 성능, 라이선스 측면에서 독자적인 길을 걷고 있습니다.
둘은 매우 유사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점차 다른 시스템으로 분화되고 있습니다.
'유틸리티 > Web Progra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MyAdmin 설치 방법과, mysqli, PDO 코드 예제 (0) | 2025.06.03 |
---|---|
php-mysql 설치 (0) | 2025.06.02 |
PHP와 Apache만 별도 설치 (1) | 2025.06.01 |
Flask 서버를 실행 상태로 유지 (0) | 2025.05.23 |
[Django] 데이터베이스를 MySQL로 변경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