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 장고(django) 웹프레임워크 설치
장고 개발 환경 준비
파이썬 가상환경 설정을 위한 유틸리티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python3.12-venv'로 설치합니다. '-y'는 추가 옵션으로 중간 과정에서 'yes'로 진행될 것을 미리 지정한 것입니다.
가상환경을 관리할 폴더를 'venvs'를 만들어 그곳에서 'python3 -m venv mysite'라는 명령으로 가상환경 'mysite'를 만듭니다. 가상환경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source mysite/bin/activate'를 실행합니다. 가상환경을 끝내는 명령은 'deactivate'입니다.
프로젝트 진행
프로젝트는 'project/mysite'를 만들어 이곳에서 진행하겠습니다. 'project/mysite'에서 'pip install django'로 최신 버전의 장고를 설치합니다. 설치 후에 장고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장고 프로젝트 생성은 'django-admin startproject config .'입니다. 생성된 파일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버 실행
서버 실행을 위해 'python manage.py runserver' 명령을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이 서버가 실행됩니다. 터미널에서는 실행 후 계속 모니터링하게 됩니다.
웹 서버 실행
장고 웹 서버 실행을 확인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127.0.0.1:8000'을 입력하고 엔터합니다. 다음과 같이 장고 웹 서버가 실행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발 서버의 한글화
개발 서버의 한글화를 위해 환경 설정을 수정합니다. 설정 파일은 'config/settings.py'입니다. 이곳에서 "LANGUAGE_CODE = 'ko-kr'"로, "TIME_ZONE = 'Asia/Seoul'"로 변경합니다. 변경 후에 다시 서버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한글화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
장고 웹 프레임워크의 기본이 끝났습니다. 뼈대가 형성됐습니다. 이제 앱 생성하고 기타 여러가지 설정을 통해 근육을 추가하면 웹 서비스가 가능하게 됩니다.
'유틸리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민트] 리눅스민트에 파이참 설치 (0) | 2025.04.24 |
---|---|
Ubuntu Linux에서 Visual Studio Code(VSCode) 설치 (0) | 2025.04.23 |
Linux에서 Poetry 설치 (2) | 2025.04.08 |
NetworkManager에서 systemd-networkd로 전환 방법 (0) | 2025.04.07 |
nmcli로 고정 IP 설정(NetworkManager) (2)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