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과 소스트리의 궁합
Git은 기본적으로 CLI(Command-line Interface)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검은 바탕의 터미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의 보조 프로그램이 소스트리입니다.
친절한 보조 프로그램, 소스트리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Sourcetree는 Atlassian에서 제공하는 Git GUI 클라이언트이며, 기본적으로 Bitbucket과 연동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하지만, Bitbucket 계정 없이도 Git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건너뛰기"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건너뛰기를 추천하는 이유
- Bitbucket을 사용하지 않아도 Sourcetree 사용 가능
- GitHub, GitLab, Azure DevOps 등의 다른 Git 플랫폼을 사용할 경우 Bitbucket 로그인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 Sourcetree는 일반적인 Git 클라이언트이므로, Bitbucket이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불필요한 계정 생성 방지
- Bitbucket을 사용할 계획이 없다면 굳이 Atlassian 계정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 개인 프로젝트나 회사 내부의 Git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Bitbucket 로그인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 설치 과정 단순화
- 로그인 과정을 건너뛰면 빠르게 Sourcetree를 설정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 후 Bitbucket을 연동하는 과정이 번거롭다면, 나중에 설정에서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도구 설치 해제
Mercurial은 실습에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 항목에서 해제합니다. 해제하는 이유는 Git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입니다.
Mercurial은 Git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대부분의 개발 환경에서는 Git이 표준이기 때문에 Mercurial을 사용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면 굳이 포함할 필요가 없습니다.
Preferences
Git에서 사용할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계정을 입력합니다. 나중에 수정할 수 있으므로 임의로 입력해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SSH키로 Git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니오'를 선택하여 진행하고 설치를 끝냅니다.
소스트리 시작
설치가 완료되고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Sourcetree를 처음 사용할 때,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추가 또는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클론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1. 로컬 저장소 추가 (기존 Git 프로젝트 불러오기)
이미 Git으로 관리 중인 프로젝트가 있다면 Sourcetree에 추가하여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방법:
- Sourcetree에서 "로컬" (Local) 탭 선택
- Git이 설정된 폴더를 드래그 & 드롭하거나, 왼쪽 아래 "새 폴더" 버튼 클릭 후 추가
2. 원격 저장소 클론 (GitHub/GitLab/Bitbucket에서 가져오기)
기존 원격 저장소를 가져와서 Sourcetree에서 관리하려면 클론(Clone) 기능을 사용합니다.
✅ 방법:
- 상단 메뉴에서 "Clone" (클론) 버튼 클릭
- GitHub, GitLab, Bitbucket 등의 원격 저장소 URL 입력
- 로컬 저장 경로 설정 후 "Clone" 클릭
3. 새로운 Git 저장소 만들기 (Create)
Git이 설정되지 않은 프로젝트를 새롭게 Git으로 관리하고 싶다면 새 저장소를 생성하면 됩니다.
✅ 방법:
- "Create" (생성) 버튼 클릭
- 프로젝트 폴더 지정 후 Git 초기화 (Initialize)
- Sourcetree에서 Git을 활용하여 버전 관리 시작 🚀
4. 기본적인 Git 작업 (Commit & Push)
- 변경사항 커밋: 변경된 파일이 있으면 Sourcetree에서 "커밋(Commit)" 버튼을 눌러 기록
- 원격 저장소로 Push: 원격 저장소(GitHub 등)와 연결되어 있다면 "Push" 버튼을 눌러 변경 사항 업로드
💡 정리:
✔ 기존 Git 프로젝트 → "로컬"에서 추가
✔ 원격 저장소 클론 → "Clone" 버튼 사용
✔ 새로운 프로젝트 → "Create" 버튼으로 초기화
'유틸리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XWayland란? (0) | 2025.03.17 |
---|---|
X 윈도우 시스템 (X Window System) (1) | 2025.03.16 |
윈도우 사용 중에 리눅스가 고플 때 사용, Git Bash (0) | 2025.03.09 |
wheel 그룹이란? (3) | 2025.03.05 |
sudo 없이 shutdown이 가능한 이유 (3)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