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에서 Samba 서버 설치 및 설정 가이드
Samba는 리눅스와 Windows 간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아래는 Ubuntu를 기준으로 Samba 서버를 설치하고 기본적인 공유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1. Samba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samba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Samba 서버와 관련된 패키지가 설치됩니다.
2. Samba 서비스 확인
설치가 완료되면 Samba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sudo systemctl status smbd
서비스가 실행 중이지 않다면 다음 명령어로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sudo systemctl start smbd
sudo systemctl enable smbd
3. 공유 디렉터리 생성 및 설정
공유에 사용할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접근 권한을 설정합니다. 예시로 /srv/samba/share를 공유 디렉터리로 사용하겠습니다.
sudo mkdir -p /srv/samba/share
sudo chmod 2775 /srv/samba/share
sudo chown nobody:nogroup /srv/samba/share
chmod 2775 명령어는 디렉터리에 그룹 쓰기 권한과 setgid 비트를 설정하여 파일 생성 시 그룹 소유권을 유지하게 만듭니다.
4. Samba 설정 파일 수정
Samba의 설정 파일은 /etc/samba/smb.conf입니다. 해당 파일을 편집하여 공유 디렉터리를 설정합니다.
sudo nano /etc/samba/smb.conf
파일의 맨 아래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Share]
path = /srv/samba/share
browsable = yes
writable = yes
guest ok = yes
read only = no
- path: 공유 디렉터리의 경로
- browsable: Windows 네트워크에서 보이도록 설정
- writable: 쓰기 권한 허용
- guest ok: 인증 없이 접속 가능 여부
5. Samba 설정 파일 테스트 및 적용
설정 파일이 올바른지 확인한 후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testparm
sudo systemctl restart smbd
6. 방화벽 설정 (필요시)
방화벽이 활성화된 경우 Samba가 사용하는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Samba는 TCP 포트 139와 445를 사용합니다.
sudo ufw allow samba
7. Windows에서 Samba 공유 디렉터리 접속
- Windows 탐색기에서 주소창에 \\<리눅스 서버 IP 주소>\Share를 입력합니다.
- 접속이 되면 공유 디렉터리가 나타납니다.
정리
- Samba 설치: sudo apt install samba
- 서비스 확인 및 시작: sudo systemctl status smbd, sudo systemctl start smbd
- 공유 디렉터리 생성: sudo mkdir -p /srv/samba/share
- 설정 파일 수정: /etc/samba/smb.conf에서 공유 디렉터리 설정
- 설정 적용: testparm으로 확인 후 sudo systemctl restart smbd
- Windows 접근: \\<리눅스 서버 IP>\Share
이 과정을 통해 리눅스에서 Samba를 설치하고 기본 공유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사용자 인증을 설정하거나, 특정 사용자를 위한 권한 제어도 가능합니다.
'리눅스 > 리눅스 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바서버] /srv 디렉터리의 의미와 역할 (7) | 2025.02.01 |
---|---|
네트워크 상에서 디렉터리 서비스 관리, LDAP (3) | 2025.01.30 |
리눅스에서 VMware 설치 (4) | 2025.01.29 |
VMware Tools를 설치 후 달라지는 가상머신 (2) | 2025.01.28 |
나스(NAS) 서버와 삼바(Samba) (1)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