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리눅스 응용

나스(NAS) 서버와 삼바(Samba)

easyfly 2025. 1. 28. 15:26
반응형

나스(NAS) 서버와 삼바(Samba)

나스(NAS) 서버와 삼바(Samba)는 파일 및 데이터 공유에 사용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아래에서는 나스와 삼바의 관계와 삼바를 사용해 나스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나스(NAS)와 삼바(Samba)의 차이

나스(NAS):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파일 저장 서버를 의미합니다. 나스는 전용 하드웨어 장비(예: Synology, QNAP)나 기존 PC/서버를 소프트웨어로 구성하여 구축할 수 있습니다.

사용 목적: 중앙 집중식 파일 저장, 백업, 미디어 서버 등.

특징: 웹 기반 관리 UI,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SMB, NFS, FTP 등).

삼바(Samba):

삼바는 Windows와 Linux 간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삼바는 SMB/CIFS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Windows 시스템과 호환성을 제공합니다.

사용 목적: Windows와 Linux 간 파일 공유.

특징: 오픈소스, Linux 시스템에서 직접 설정 및 관리 가능.

결론: 삼바는 나스 서버의 파일 공유를 위한 주요 프로토콜 중 하나로, 나스 구축 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2. 삼바를 활용한 나스 서버 구축 방법


기존의 PC나 Linux 서버를 이용해 삼바를 설정하면 간단한 나스 서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1) 필요한 환경 준비


Linux 기반 서버(예: Ubuntu, CentOS 등).

저장 공간으로 사용할 디스크나 디렉터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환경.

(2) 삼바 설치 및 설정

1) 삼바 설치


Linux 배포판에 따라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 삼바를 설치합니다.

Ubuntu/Debian: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samba -y

CentOS/RHEL:

sudo yum install samba samba-common samba-client -y

2) 공유 디렉터리 생성


나스에서 파일을 공유할 디렉터리를 만듭니다.

sudo mkdir -p /srv/nas/shared
sudo chown -R nobody:nogroup /srv/nas/shared  # 비공개 공유용
sudo chmod 777 /srv/nas/shared                # 모든 사용자 접근 허용

3) 삼바 설정 파일 편집


삼바 설정 파일 /etc/samba/smb.conf를 수정하여 공유 디렉터리를 추가합니다.

설정 파일 열기:
sudo nano /etc/samba/smb.conf

공유 설정 추가:
[nas_shared]
   path = /srv/nas/shared
   browseable = yes
   writable = yes
   guest ok = yes
   create mask = 0777
   directory mask = 0777
   force user = nobody

설명:
path: 공유할 디렉터리의 경로.
guest ok: 비밀번호 없이 접근 가능 여부.
force user: 파일 소유자를 지정.

4) 삼바 서비스 시작


삼바 서비스를 시작하고,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smbd nmbd
sudo systemctl enable smbd nmbd

5) 방화벽 설정


삼바가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하려면 방화벽에서 필요한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

UFW (Ubuntu):

sudo ufw allow samba
sudo ufw reload

FirewallD (CentOS/RHEL):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samba
sudo firewall-cmd --reload


(3) Windows/클라이언트에서 접속


1. Windows 파일 탐색기 열기 → 주소창에 \\<나스 서버 IP> 입력.

2. 공유 디렉터리 목록에서 nas_shared 선택.

3. 비밀번호가 없는 설정일 경우 바로 접근, 그렇지 않을 경우 삼바 사용자 계정을 입력.


3. 나스 서버와 삼바 활용 사례


파일 백업: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나스에 정기적으로 파일 백업을 설정.

미디어 서버: 삼바와 Plex 또는 Jellyfin을 조합해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구축.

멀티 OS 파일 공유: Linux와 Windows 간에 파일을 쉽게 공유.


4. 추가 설정 및 고급 기능


1. 사용자 계정별 접근 권한 설정: 삼바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 개별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sudo smbpasswd -a 사용자명

설정 파일에서 사용자 기반 권한 추가:

valid users = 사용자명


2. RAID 구성: 나스에 연결된 여러 디스크를 RAID로 구성하여 데이터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웹 기반 관리: 삼바와 함께 Nextcloud 또는 OpenMediaVault를 설치하면 나스를 웹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정리


삼바를 통해 나스 서버를 구축하면 손쉽게 파일 공유와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며, 추가적인 확장 기능을 통해 사용자 요구에 맞는 파일 서버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